[사진 출처=글로벌이코노믹]

며칠 전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마약류 투약을 의심케 하는 동영상을 공개해 충격을 줬다. 또 이르면 다음 주에 인기 배우 유아인 씨가 프로포폴 상습 투약 혐의로 경찰에서 소환 조사를 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일부 재벌가나 사회 지도층 자제들의 무분별한 마약류 범죄는 별로 놀랍지 않은 게 우리 사회의 자화상이다.

마약 김밥, 마약 치킨 등 ‘마약’을 음식 이름 앞에 버젓이 붙인 상호도 흔하다. ‘중독성 있는 맛’이라는 뜻이고 소비자들은 발음할 때 재밌게 받아들인다. 하지만 이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마약류에 대한 청소년들의 거부감이나 죄의식을 약화시키기 때문이다.

이제 ‘청소년 마약’까지 걱정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지난해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경찰에 검거된 10대는 294명이다. 지난 2018년 104명이던 10대 마약류관리법 사범은 2020년 241명, 2021년 309명으로 점점 늘었다. 검찰청의 ‘2021년 마약류 범죄백서’를 보면 19세 이하 미성년자가 2017년 대비 278.2% 급증했다. 이 소년범들을 분석한 결과 대상자 135명 가은데 43.7%의 범행 동기가 단순히 ‘호기심’이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SNS와 채팅 애플리케이션 등이 활성화되면서 청소년들의 마약류 접근 경로가 쉬워졌다. 이에 비해 현실은 마약 중독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이나 의사의 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청소년들이 입원 치료를 받고 싶어도 정작 받아주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더 보기 →

 

김성원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inner585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