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글로벌이코노믹]

증권 사기 혐의로 재판을 받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2018년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 펀드가 테슬라를 매입해 비상장사로 전환하려 한 것은 ‘명명백백하게’ (unequivocally) 사실이었다고 주장했다. 머스크 CEO는 2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연방법원의 법정에 출석해 이같이 증언했다. 머스크는 20일에 이어 이날 두 번째로 법정에 출석했다.

머스크는 18일부터 2월1일까지 샌프란시스코 법원에서 ‘테슬라 상장폐지 트윗’과 관련해 배심원단 재판을 받는다. 머스크는 2018년 초 테슬라를 비상장사로 전환하겠다며 사우디아라비아국부 펀드로부터 대규모 자금도 확보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그는 보름여 만에 돌연 말을 바꿔 상폐 계획을 철회했고, 급등했던 주가가 폭락했다.

머스크의 말을 믿고 테슬라 주식, 채권, 옵션 등에 투자했던 투자자들은 막대한 손실을 보았다며 집단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투자자 측은 증권사기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머스크 측은 사우디 국부 펀드가 결정을 뒤집은 탓이라며 고의로 투자자들을 속인 게 아니라고 반박했다.

머스크는 지난 2018년 8월에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테슬라를 주당 420달러에 비상장 회사로 전환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고, 자금을 확보했다”고 주장했다. 이 트윗으로 인해 2018년 8월 7∼17일 사이 테슬라의 주가가 요동을 쳤다. 테슬라 시가총액은 이 기간 고점 대비 140억 달러(약 17조 3500억원)가 감소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이 트윗을 조사해 머스크를 고소했고, 머스크는 SEC와 4000만 달러(약 495억원)의 벌금에 합의했다.



더 보기 →

 

국기연 글로벌이코노믹 워싱턴 특파원 ku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