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글로벌이코노믹]

미국 뉴욕증시가 또 휴장을 했다. 설날 신정 대체공휴일로 하루 더 쉰 것이다. 산타랠리와 1월효과를 구현하기위해서는 갈길 바쁜 뉴욕증시가 휴장으로 흐름이 막혔다. 달러환율 국채금리 국제유가 암호화폐등더 하루더 지나야 계묘년 거래가 본격적으로 이워질 것으로 보인다. 새 해 첫주의 가장큰 관심사는 산타랠리에 이은 1월 효과이다.

미국 뉴욕증시 주요 지표 및 일정

1월2일=신정 대체공휴일로 미국 뉴욕증시 금융시장 휴장

1월3일=12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 11월 건설지출 차이신 중국 구매관리자지수(PMI) 제조업

1월4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의사록, 2월 공급관리협회(ISM) 제조업 PMI ,11월 구인·이직 보고서

1월5일=12월 ADP 고용보고서, 주간 신규실업보험 청구자 수, 12월 S&P 글로벌 서비스업 PMI,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 연설

1월6일=12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자 수·실업률, 12월 공급관리협회(ISM) 비제조업 PMI,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톰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 연설,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연설, 리사 쿡 연준 이사 연설

이런 가운데 러시아와 우크라가 평화협상을 벌이고 있으면 "곧 휴전"을 할 것이라고 독일의 DPA 통신이 긴급 뉴스로 보도했다. 이같은 소식에 뉴욕증시 비트코인은 "환호"하고 있다. 뉴욕증시는 설날 대체 휴가로 하루 더 휴장한다. 휴장이 다시 장이 열리면 우크라 러시아의 평화협상 소식은 뉴욕증시와 암호화폐는 물론 달러환율과 국제유가. 국채금기 금값등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3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독일 dpa통신은 독일군의 실세였던 한스-로타르 돔뢰제(72) 퇴역 대장이 이번 여름에 휴전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을 독일의 풍케 미디어에 밝혔다고 보도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의 휴전이 연내에 이뤄져 전투가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그는 2월과 5월 사이를 승패 판가름이 어려운 정체 상태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시기로 꼽으면서 "그 때가 휴전 협상이 이뤄질 순간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휴전을 위한 우크라와 러시아의 평화협상은 비빌리에 추진되어 왔다고 전했다. 그는 우크라 러시아 휴전 협상 중재를 맡을 가능성이 있는 인물로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대통령 등을 꼽았다. 돔뢰제 대장은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은 우크라이나 전체를 가지고 싶어할 것이고 (우크라이나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는 우크라이나 전역을 다시 해방시키고 싶어하겠지만 지금 현실적으로 가능한 선택은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측 모두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협상으로 만들어내는 것뿐"이라고 말했다. 가능한 해결책의 예로 돔뢰제 대장은 젤렌스키 대통령이 크림반도 같은 지역을 즉각 우크라이나 영토로 다시 편입하는 방안을 고집하지 않고 이행 기간을 둘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주에는 미국의 12월 고용 보고서가 발표된다. 노동 시장 현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긴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만큼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이번 주 공개된다. 여러 연준 위원들의 발언도 예정돼 있다. 뉴욕증시는 새해 연휴로 오는 2일은 휴장하고 3일부터 개장한다. 단 4거래일의 짧은 한 주가 예정된 만큼 변동성이 증폭할 수 있다.

지난해 뉴욕증시는 역대급으로 부진한 성적을 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33% 이상 폭락하며 약세장에 빠졌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9.4%가량 하락하며 20% 급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약 8.8%의 연간 손실을 기록했다. 3대 지수는 모두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 뉴욕증시 나스닥지수는 지난해 한 분기도 분기 상승세를 기록하지 못했다. 나스닥지수가 4개 분기 연속 하락한 것은 닷컴버블 사태 당시인 2001년 이후 처음이다. 뉴욕증시에서는 초대형 기술주인 빅테크 종목이 큰 타격을 입었다. 미래의 성장에 기반한 빅테크는 금리 변동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연초 1.6%를 살짝 상회했던 미국 10년물 채권 금리는 작년 연중 4%를 상회했고 3.8% 수준에서 한 해 거래를 마쳤다. 뉴욕증시 최고 대장주인 애플은 연고점 대비 29%가량 급락한 수준에서 작년 거래를 마감했다. 세계 최대 전기차회사 테슬라와 페이스북의 모회사 메타 플랫폼스의 주가는 한 해 동안 65% 안팎으로 폭락했다. 아마존 또한 연고점보다 주가가 절반 가까이 반토막 났다.



더 보기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