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글로벌이코노믹]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은 계묘년 새해를 맞아 “위기라는 망 속에는 기회의 씨앗이 숨겨져 있다”면서 “포스코그룹은 더 크고 강한 기업으로 성장해 올해를 한 단계 더 도약하는 희망의 한해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2일 열린 그룹 시무식에서 발표한 신년사를 통해 포스코그룹은 2030 성장비전 달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7대 핵심사업별 성장전략의 올해 중점 추진사항을 공개했다.

먼저, 철강사업은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의 성공적 이행을 위해 선제적인 친환경 생산·판매체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해외 성장시장 선점을 위한 투자 기회도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저탄소 철강제품 생산을 위한 신규 설비 투자와 기존 설비 기반의 저탄소 브릿지(Bridge) 기술 적용을 확대하고, 수소환원제철 데모플랜트 조기 구축을 위한 기술개발을 강화한다.

또한 친환경산업용 특화 제품과 솔루션 개발을 확대하고 친환경 통합 브랜드인 ‘그리닛(Greenate)’ 마케팅을 체계화하여 친환경 제품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해 나가기로 했다.

해외 철강사업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인도네시아‧인도‧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기존 투자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현지 완결형 투자 기회를 적극 모색한다.

최 회장은 친환경 미래소재 분야의 경우 “본격적 시장 확대와 공급망 재편의 기회를 활용하여 글로벌 성장 투자를 가속화하고 밸류 체인(Value Chain)을 강화해 으로써 경쟁우위를 극대화 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양·음극재사업은 배터리사들의 공급확대 요구에 대응하여 국내 생산능력 증강을 지속하고,글로벌 OEM(완성차업체)사와 연계한 북미 등 해외 생산기반 확보도 추진한다.

리튬사업은 광석리튬 1, 2단계는 올해 말부터 적기에 준공하고, 아르헨티나 염수리튬 1, 2단계 건설은 차질없이 진행함과 동시에 추가 염호 확보를 통해 단계적 확장 기반을 마련해 나갈간다. 니켈사업은 현재 진행중인 투자사업을 조기에 안정화하고 호주, 인도네시아 등에서 파트너사와 협력을 통해 정제 및 제련사업을 확대하기로 했다.

수소사업은 친환경 제철 전환과 연계하여 2030년까지 50만t 수소 확보를 목표로 글로벌 생산 프로젝트(PJT) 참여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친환경 인프라 분야에서는 차별화된 밸류 체인 경쟁력 확보와 친환경 성장사업 확대를 통해 지속가능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최 회장은 “에너지사업은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에너지의 합병으로 LNG(액화천연가스) 밸류 체인에서의 독보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면서 “기보유 중인 에너지개발사업(E&P) 자산의 안정적 생산과 추가 개발을 추진하고, LNG터미널 증설과 벙커링 등 연계사업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 보기 →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