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글로벌이코노믹]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서비스인 KB리브엠에 대해 통신업계가 "통신시장을 교란하고 있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KMDA)는 8일 성명을 내고 "KB국민은행은 혁신적인 서비스는 전혀 보여주지 못한 채 예대금리차를 통해 쌓은 압도적인 자본력을 바탕으로 가입자를 빠르게 늘리기 위해서 '적자를 감수하는 금권 마케팅'을 전개하며 이동통신 시장을 교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알뜰폰협회) 또한 지난 2월 KB리브엠의 과도한 원가 이하의 요금제 판매가 사업자 간 출혈 경쟁을 부추긴다며 상생협력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최근 금산분리 제도 개선방향을 통해 제도개선 시 기존 시장참여자의 상권·영업권 침해 우려 등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금융업계와 관계부처뿐 아니라 핀테크, 중소기업 등 다른 이해관계자 들의 의견을 충분히 경청한 후 내년초 금융규제 혁신회의에서 구체적인 방안을 심의 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금산분리 제도에 따라 금융기업은 비금융업에 진출할 수 없지만, 금융규제샌드박스를 통해 혁신금융서비스를 지정해 허용하고 있다. KB리브엠이 혁신금융서비스의 대표적인 사례다.

KB노조는 지난 7월 "KB국민은행이 '제한적인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이유로 대면서비스를 강행하고 있는데 '노사간 업무협의'에 따른 상호 합의가 일체 없었다는 점을 들어 명백한 부가조건 위반"이라며 KMDA와 함께 KB국민은행의 알뜰폰 사업에 대한 혁신금융서비스 승인을 취소해달라고 촉구했다.



더 보기 →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